Skip to content
Home »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최근 답변 79개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최근 답변 79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a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a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사피엔스 스튜디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0,964회 및 좋아요 74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외계통신 EP.17-03
외계통신 (2018)
한국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제 3자인 다국적 외신들의 시점으로 풀어보는 외신 버라이어티
《책 읽어 드립니다》, 《어쩌다 어른》 제작진이 만든 대한민국 대표 지식 큐레이팅 채널 『사피엔스』 → https://www.youtube.com/c/사피엔스스튜디오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 상징에 나타난 문화정체성의 메타언어 …

본 연구는 그레마스 구조기호학(Structural Semiotics)의’의미 생성 행로(parcours génératif de la signification)’를통해 하켄크로이츠(Hakenkreuz)와 욱일기(旭日旗)가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23/2022

View: 5087

“‘욱일기=나치 전범기’…올림픽 사용은 아시아인에 큰 상처 …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아시아인들에게 일본 욱일기는 나치의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전범기라고 주장하며 20…

+ 여기에 표시

Source: www.yna.co.kr

Date Published: 11/11/2021

View: 9836

PSG, 욱일기 의미 몰랐나?… 파비앙 “나치 하켄크로이츠와 동일”

PSG, 욱일기 의미 몰랐나?… 파비앙 “나치 하켄크로이츠와 동일 · 프랑스 리그앙 파리생제르맹(PSG)이 2022 일본투어를 홍보하는 영상에 ‘욱일기’를 사용해 …

+ 더 읽기

Source: moneys.mt.co.kr

Date Published: 4/18/2021

View: 8681

[이투:줌] 하켄크로이츠는 지우는데 욱일기는 안지운다…인스타 …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 모두 제2차 세계대전 전쟁 범죄를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다. 하지만 두 상징에 대한 인식은 확연히 다르다. 독일 나치즘의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etoday.co.kr

Date Published: 3/21/2022

View: 9299

욱일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욱일승천기(旭日昇天旗)라고도 부르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으로 승천은 세계로 뻗어나가다,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의미이다. 하켄크로이츠와 같이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9/29/2021

View: 43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 Author: 사피엔스 스튜디오
  • Views: 조회수 70,964회
  • Likes: 좋아요 745개
  • Date Published: 2021. 1. 6.
  • Video Url hyperlink: https://www.youtube.com/watch?v=DkpaDDMDTsc

[팩트체크] 욱일기는 전범기? ‘전범기’는 없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욱일기는 일본제국주의 침략 전쟁의 상징이다. ‘욱일기는 전범기’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욱일기(욱일문양)에 대한 논란조차 거의 없으며 해외에서도 대체적으로 관심이 없다. 나찌의 상징 하켄크로이츠(갈고리 십자가)가 전세계적으로 금기시되는 것과 비교할 만한 일이다.

이 글에서는 전범기가 무엇인지, 전범기 논란은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그리고 욱일기와 욱광문양의 역사적 기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에 더해 전쟁이나 인종차별과 관련된 깃발과 욱일기를 비교해 보고 욱일기와 욱일문양 논란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논의한다. 일본제국주의에 반대하는 것은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 글은 욱일기를 옹호하는 글이 아니다. 정확하게 알고서 비판하자는 취지의 글이며, 어떤 방식으로 비판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고찰해보는 글이다. 욱일기를 반대하면 독립지사가 되고 욱일기를 반대하지 않으면 친일 반민족세력이 되는 극단적 논리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국제관함식 자위함 욱일기 게양 논란의 경과

10월 5일 일본 자위대가 대한민국 국제관함식 불참을 통보했다. 자위대함기(욱일기)를 게양할 수 없다면 참석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정부가 좌승함(사열을 받는 주최측의 선봉 함정)을 독도함으로 바꾸는 것을 검토하는 강수를 두자 포기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초 일본 자위대함은 10~14일 제주도에서 열리는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 참석하며 ‘욱일기’를 게양할 방침이었다. 이에 대한 반대 여론이 들끓자 한국 해군은 관함식 참여 15개국에 공문을 보내 사열 참가시 자국 국기와 태극기만 달아 달라고 요청했다. 일본 오노데라 방위성은 “욱일기 디자인은 일본 국내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며 사실상 거절했다. 유엔 해양법 조약은 군대 소속 선박은 국적을 표시하는 깃발을 달게 되어 있으며 자위함기(욱일기) 게양은 일본 법령상 의무라는 것이 거절의 이유다. 외교부는 “욱일기에 대한 국민감정을 적극 감안해 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

5일 보도된 일본 NHK 캡쳐. 미디어 오늘 인용.

이와 관련 보수ㆍ진보 할 것 없이 한 목소리로 일본을 비판해왔다.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월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욱일기는 일제 강점 피해국엔 전쟁범죄의 상징”이라며 일본 군함의 욱일기 게양을 반대했다. 황영철 자유한국당 의원은 같은날 “제주관함식 때 일본 욱일기 함정 오면 참석을 안하겠다”고 밝혔다. 대한민국3.1회(회장 안모세), 나라사랑태극기달기운동본부(대표 문영권 목사), 선민네트워크(대표 김규호 목사) 등 3개 단체는 9월 27일 일본 대사관 앞에서 ‘욱일기 반대’ 기자회견을 가졌다. 전쟁반대 평화실현 국민행동도 일본 대사관 앞에서 전범기 단 일본군함의 국제관함식 참석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 부산 시민·노동단체가 같이하는 ‘적폐청산·사회 대개혁 부산운동본부’의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특별위원회는 10월 2일 “국제 관함식 때 일본 함정 입항 저지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고 경남 창원에서는 진돗개가 욱일기를 밟는 퍼포먼스가 열리기도 했다.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월 4일 군국주의 상징물은 물론 이를 연상케 하는 것을 국내에서 공연할 수 없게 하는 ‘군국주의 차단법’을 발의하기도 했다.

그럼 본격적으로 욱일기와 전범기 개념과 기원에 대해 살펴본다.

1. 전범기는 한국에서만 쓰는 개념이다

전범기(戰犯旗)란 전쟁범죄에 사용된 깃발이라는 의미다. 한국어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언론은 ‘전범기’라는 표현이 표준어인 것처럼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범기는 욱일기(旭日旗ㆍRising solar flag)와 사실상 동의어로 쓰이고 있다. 영어로는 battle crime flag로 번역되는데,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단어다. battle crime flag로 구글에서 검색하면 주로 욱일기 논란이 나온다. 주로 한국인들이 작성한 문건이다. 전범기는 사실상 한국에서만 쓰이는 개념이다.

그래서 욱일기 문제를 해외에 알릴 때 ‘전범기(battle crime flag)’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개념 자체가 생소하기 때문에 설득하기가 힘든 것이다. 하켄크로이츠는 주로 나치 상징 혹은 파시스트 상징(fascist image)이라고 지칭된다. 그런데 ‘파시스트 상징’이란 단어는 전쟁보다는 파시즘과 인종청소에 초점이 맞혀져 있다. 인류 역사상 전쟁범죄를 저지른 집단은 수두룩한데 그들의 국기나 군기가 모두 금지되지 않았다. 전쟁범죄 깃발이라고 해서 금지해야한다는 논리가 빈약한 것은 이 때문이다.

전범기, battle crim flag라는 단어는 한국에서만 사용된다. 사진은 구글 트렌드에서 ‘전범기’를 검색한 화면.

특정 단어가 언제 어느 나라에서 사용됐는지 알 수 있는 구글 트렌드에서 <전범기> <戰犯旗> 를 키워드로 검색하면, 전범기는 오직 한국에서만(한글이라서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戰犯旗는 대만에서만 사용됐다(반일감정이 한국보다 강한 중국에서도 간자체 战犯旗를 사용하지 않는다). battle crime flag는 아무도 사용하지 않아 아예 검색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위 사진을 보면 전범기라는 단어가 한국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2012년 8월이다.

2. 한국에서 ‘전범기’란 단어는 2012년 뉴데일리가 처음 사용했다

2012년 8월에 ‘전범기’라는 단어가 언론에서 처음 사용됐다. 배경을 살펴봐야 한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밀실합의와 측근 비리로 인해 지지율이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8월 10일 전격적으로 독도를 방문했다.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이었다. 당시에도 대통령 방문이 ‘독도 분쟁지역화’를 노리는 일본의 의도에 말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반일 감정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런던올림픽 3-4위 한일전 축구 경기에서의 ‘독도 퍼포먼스가 벌어졌다. 박종우 선수가 경기 뒤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종이를 드고 운동장을 돌았다. 정치적 메시지 표현을 금지한 국제올림픽위위원회는 대한체육회에 진상조사를 요청했다. 한국 국민이 들끓었다. 일본 응원단이 대형 욱일기를 사용한 것을 지적하며 불공정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욱일기를 지칭하며 ‘전범기’라는 표현을 처음 쓴 곳은 보수우익 성향의 뉴데일리였다. 이후 다른 언론들이 ‘전범기’ 표현을 쓰기 시작했다. 8월 24일 미국 뉴욕에서 ‘욱일승천기 퇴출’ 시민단체가 출범했고, 27일에는 한 미국인이 일본 욱일기는 나치 상징과 동일하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IOC 위원장에게 보냈다는 뉴스가 나왔다. 이후 ‘전범기’라는 단어가 언론에서 쏟아졌다. 경향신문은 국내에서 욱일기를 소지한 사람을 엄벌하는 법안을 제정하자고 주장했다. 그해 11월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유엔 본부앞에서 일본 전범기 퇴출 등 군국주의 부활 경고 시위를 가졌다.

반일과 한국홍보를 트레이드마크로 내세우는 서경덕 교수는 욱일기 문제를 다룬 2013년 ‘한국인이 알아야 할 역사이야기’란 동영상을 공개했다. 하켄크로이츠를 비교하며 욱일기를 세계적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유튜브를 영어로 제작했다. 욱일기 반대 운동 이후 서경덕 교수는 대중적으로 큰 이름을 알리게 된다. 서 교수는 2014년에는 뉴욕타임스에 불고기와 비빔밥 등 한식 광고를 냈는데 ‘괴상한 광고’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 돈을 받아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서 교수는 여전히 반일 민족주의자로 활동하며 욱일기 반대 운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1일 서경덕 교수가 45개국 해군에 “일본 해상자위대 깃발은 전범기”라는 이메일을 보냈다.

정리하면, ‘전범기(욱일기)’ 논란이 본격적으로 분출된 것은 2012년이다. 정치적 곤경에 빠진 이명박 대통령이 탈출구로 선택한 독도 방문이 반일 감정을 고조시켰으며 올림픽 ‘독도 세레머니’로 인해 폭발했다. ‘전범기’라는 단어를 언론에서 처음 쓴 것은 뉴데일리였다. 과거에도 욱일기가 문제가 되긴 했지만 이 정도는 아니었다. 1998년과 2008년 부산에서 열린 국제 관함식에 참석한 일본 자위대 함정이 욱일기를 게양했지만 크게 문제가 되진 않았다.

3. 욱일기는 하켄크로이츠, 철십자, 남부연합기 중 어느 것과 비슷한가

욱일기는 보통 나찌 상징인 하켄크로이츠와 비교된다. 한국에서는 둘은 차이점이 없으며 하켄크로이츠가 금지된만큼 욱일기도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사안이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둘의 공통점만큼 차이점도 크기 때문이다. 우선 논란이 되는 4개 깃발(문양)의 역사적 기원을 살펴보자.

욱일승천기는 공식 명칭이 아니다. 일본에서는 욱일기(旭日旗ㆍきょくじつきㆍ쿄쿠지쓰키)로 불린다. 일본어 위키피디아에도 욱일기로 적혀 있다. 일본 중심의 서술이지만 일본어 위키피디아에는 욱일기의 역사에 대해 자세히 쓰여 있다. 욱일기가 최초로 공식적으로 쓰인 것은 메이지 3년인 1870년으로 일본 육군의 군기로 사용됐으며 1889년에 일본 해군깃발로 채택되었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하면서 제국주의 깃발로 인식됐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말레이시아 페낭 일본 해군기지에 입항한 독일 U보트 승무원들을 위한 일본 해군의 환영식 사진.

욱일기는 국가가 아니라 군대를 대표하는 깃발이다. 국기는 일장기(히노마루)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말레이시아 페낭 일본 해군기지에 입항한 독일 U보트 승조원들을 위해 일본 해군이 환영식을 열었는데 좌측에는 욱일기 우측에는 작은 철십자 문양이 들어간 하켄크로이츠기가 걸린다. 둘다 해군의 상징이다. 이 사진은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가 같은 전쟁범죄기라는 증거로 사용된다. 패전 이후 군대가 해산되면서 자연히 사용이 중단됐지만 1954년 자위대가 창설되면서 욱일기가 다시 자위대 깃발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의 정상국가화를 주장하는 우익들이 종종 사용하면서 일본 극우의 상징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켄크로이츠(갈고리 십자가)기가 나치 상징으로 등장한 것은 1920년이다. 처음에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당기였지만 히틀러가 집권한 뒤 1935년 국기로 제정됐다. 갈고리 십자가 문양은 유럽의 룬문자에서 비롯됐으며 행운을 의미했다. 19세기 고고학자 하인리힌 슐리만이 트로이 유적에서 이 문양을 발견했는데 스와스티카로 불렸으며 유럽의 공통되는 종교 기호라고 생각했다. 그는 유럽민족의 기원은 아리아인이라 봤는데 이 기호가 아리아족의 공유된 문화의 상징이라고 생각했다. 이후 아리아민족의 순수성을 강조했던 나치가 이 문양을 당기로 삼게 된 것이다.

하켄크로이츠는 제 2차세계대전 이후 사용이 사실상 금지됐다. 패전국 군대의 상징이어서가 아니라 인종차별 및 유대인 학살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반나치법안에 의해 독일에서는 공식적으로 사용이 금지됐다. 하켄크로이츠 뿐 아니라 독수리 문양이 들어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인종주의를 상징하는 켈트 십자문양, 히틀러 친위대 단기 등도 금지됐다. 모두 인종차별과 관련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독일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금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극우단체 집회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다.

1813년부터 1870년까지의 철십자 종류. 출처: 나무위키

철십자(아이제르네 크로이츠)는 프로이센 시절부터 쓰인 독일 군대 고유의 상징이다. 훈장으로도 사용됐으며 1813년 나폴레옹 전쟁에 참여한 프로이센 병사의 무공을 치하하기 위해 철십자장으로 제작된 것이 기원이다. 철십자장은 여러 이유 때문에 욱일기와 비교된다. 둘다 당이나 국가의 상징이 아닌 군대의 상징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다. 차이점은 철십자장은 기본적으로 훈장이지만 욱일기는 깃발이라는 점이다. 물론 철십자 문양도 독일 군대에서 깃발로 사용하기도 했다. 전쟁 이후 사용이 금지되지 않았다는 점도 공통점이다. 직접적으로 인종청소를 연상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하켄크로이츠와 같이 쓰인 철십자는 현대에 금기시된다. 위 환영식 사진에도 나오지만 독일제국은 전쟁 당시 하켄크로이츠과 철십자를 같이 쓴 깃발을 3군 공통 깃발로 사용했다. 당(국가)과 군대를 상징하는 문양을 합친 깃발이다. 왼쪽 사진은 1939년 1급 철십자상인데, 철십자 가운데 하켄크로이츠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나치 상징으로도 쓰인다. 실제 극우들은 하켄크로이츠 대신 철십자를 모임이나 집회에서 사용하기도 하며 미국의 무법 오토바이 운전자들의 상징처럼 쓰였다.

미국 남부연합기는 노예제 갈등으로 미 연방에서 탈퇴한 남부연합이 1861년 처음 사용했다. 현재 쓰이는 디자인은 1863년 채택된 남부연합 해군기와 동일하다. 당시 로버트 리 장군이 이끌던 북버지니아군이 사용하던 전투 깃발과 유사하다. 남부연합기가 처음부터 논란이 된 것은 아니다. 남부지역의 자존심으로 이 깃발이 사용됐고 주청사에도 게양되기도 했다. 문제는 쿠 클라스 클랜 같은 극우단체들이 이 깃발을 사용하며 노예제를 옹호하면서다. 인종차별과 백인우월주의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금기시됐다. 2015년 미국 흑인 교회 난사사건 이후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한 흑인 여성은 주의회 의사당에 걸린 남부연합기를 내리기 위해 직접 철봉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남부연합기를 문화유산으로 생각하는 사람 특히 백인이 많다. 흑인 래퍼들은 인종차별적 성격을 중화시키기 위해 남부연합기 옷을 입기도 한다. 2014년 윈스롭대학 조사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민 62percent가 긍정적 또는 중립적 견해를 보였다. 퇴출논란이 불거지자 아마존에서는 남부연합기 매출이 급증하기도 했다. 2017년에는 뉴욕주에서 남부연합기를 연상시키는 지하철 타일까지 교체하는 등 여전히 민감한 주제다.

4가지 깃발(상징)의 공통점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욱일기는 금지된 하켄크로이츠보다 금지되지 않은 철십자, 남부연합기와 공통점이 많다. 현재 일본 자위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인종차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아시아를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반감이 거의 없다. 특히 남부연합기와 매우 유사하다. 사용금지 여부, 대중적 인식, 피해자들의 반발, 극우들의 사용, 갈수록 사회이슈가 되고 있다는 점까지 닮아있다.

4. 욱광(햇살)문양도 금지해야 하나

욱광(旭光ㆍrising solar) 문양은 일본을 상징할 때가 많지만 일본에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햇살이 사방으로 뻗치는 이미지는 전 세계가 사용하는 보편적 이미지다. 욱일기에 대한 한국의 반감은 ‘욱광문양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지는 때가 많은데 지나칠 때가 많다. 이는 주로 연예인들에게 집중된다. 대중문화에서 욱광문양을 쉽게 발견할 수 있어서기도 하지만 인기에 민감한 연예인들이 이런 공격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2018년 7월 배우 하연수는 러시아 여행중 서커스장 앞에서 사진을 한장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렸는데 네티즌들의 공격을 받았다. 포스터에 욱광문양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하연수는 해명을 하다 결국 사진을 내렸다.

MBC ‘컬투의 베란다쇼’ 정찬우(왼쪽).

2014년 개그맨 정찬우는 방송에 입고 나온 옷이 욱일기를 연상시킨다며 공격을 받자 사과를 했다. “녹화 당시에는 그런 느낌이 나는 옷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는데 국민 한 분이라도 눈에 거슬렸다면 잘못한 거라 생각합니다”라는 사과문을 트위터에 올렸다.

오버액션 토끼 신년인사 그림.

2017년 9월에는 캐릭터 오버액션토끼 제작진이 욱일기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1월에 신년을 맞아 트위터에 올린 그림의 뒷 배경이 욱일기를 연상시킨다는 이유였다. 새해가 시작되는 1월 1일에 해가 떠오르는 이미지는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뉴욕시 관광홍보사이트에 올라온 욱일문양.

2013년에는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작품 홍보배너와 뉴욕시 홍보포스터에 욱광문양이 들어가 한국인들이 반발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실렸다. 기사에서 서경덕 교수는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전시되는 일본 작가들 작품 대다수에 욱일승천기가 형상화됐다. 아~ 뭔가 또 조치를 취해야 할 것 같다”고 SNS에 올렸다.

욱일문양이 사용된 나이키 에어조던 신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제품에 쓰이는 욱광문양에 대한 한국인들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2013년에는 한국인 유학생이 영국의 도시락 회사가 rising solar 로고를 쓴 것에 대해 항의해 로고를 바꿀 것을 요청했다. 2018년 6월에는 일본항공이 기내식에 욱광문양을 사용한 것을 서경덕 교수가 문제삼고 항의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2018년 7월 영국 프리미어리그 리버풀 선수 나비 케이타는 욱광문양 문신을 왼팔에 새겼다가 한국인들의 항의를 받자 그 위에 트로피를 덮은 새로운 문신을 공개하기도 했다. 같은 시기 하이트 진로의 ‘하이트 엑스트라 콜드’ 맥주 디자인이 욱일기와 비슷하다는 지적을 받자 제조사는 제품생산을 중단하고 회수조치를 했다. 비슷한 시기에 신발 브랜드 캔버스가 홍보영상에 욱일기를 사용해 네티즌이 항의를 했다. 이 밖에도 나이키 등 전 세계 수많은 브랜드가 제품에 욱광문양을 적용하고 있고, 한국인들이 이에 항의하고, 한국 언론은 이 내용을 기사로 쓰고 있다.

욱광문양으로 논란이 된 위 사건을 보면 욱광문양을 어디까지 문제 삼아야 하는지 고민이 될 수 밖에 없다. 일본 제국주의와 관계없는 단순 햇살문양까지 ‘전범기’ 취급을 하고 공격하는 것이 정당하냐는 의문이다. 최근 욱일기 논란이 불거지면서 국회의원들이 ‘욱일기 금지 법안’을 발의했다. 이석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욱일기 사용을 금지하는 형법, 영해 및 접속수역법, 항공안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법안에는 “욱일기를 비롯한 제국주의 및 전쟁 범죄를 상징하는 옷·깃발·마스코트 그 밖의 소품을 제작·유포하거나, 대중교통수단·공연·집회 그 밖에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에 붙이거나 입거나 지닌 자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도 ‘일본 제국주의 또는 독일 나치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깃발, 휘장 또는 옷을 국내에서 제작, 유포하거나 대중교통수단, 공연·집회장소, 그 밖에 공중(公衆)이 밀집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내용이 담긴 형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독일의 반나치법안과 문구가 거의 비슷하다. 문제는 욱광문양을 어디까지 일본 제국주의 상징으로 볼 수 있느냐다. 위 법안대로라면 욱광문양이 담긴 나이키 신발을 신어도 처벌받을 수 있다.

욱광문양을 적용한 전 세계 깃발들. 출처:위키피디아

욱광문양은 욱일기만 쓰지 않는다. 욱광문양을 적용한 깃발은 세계 공통으로 발견된다. 통일교도 욱광문양 때문에 한때 일본 우익과 연관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일본 대중문화에서도 욱광문양이 자주 나오는데 모두가 일본제국주의를 상징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욱광문양이 풍요를 상징하기 때문에 대어기나 축제에 등장했다. 상대적으로 진보 언론인 아사히(朝日) 신문도 욱광문양을 쓰고 있다. 조일이란 한자 자체가 아침해, 즉 욱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국 해군과 공군은 엠블렘에 욱광문양을 종종 사용한다. 우선 주일미군의 경우 대다수가 욱광문양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본토 부대조차 욱광문양을 종종 사용한다. 일본과 전쟁은 했지만 지배를 당해본 적 없는 미국 입장에서는 욱일기와 욱광문양에 대한 반감이 적다.

이처럼 제국주의 성격을 띄는 욱일기와 욱광문양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욱일기 처벌법안’이 통과된다면, 지금보다 더 큰 논란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 욱광문양을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 처벌받는 사람이 생길 것이고 이를 고발한 뒤 애국지사로 행세하는 사람이 나타날 것이다.

5. 해외에서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보나

서양 국가에선 욱일기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 관심이 없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있다는 것조차 알지 못한다. 다만 최근 한국인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면서 일부 언론에서 이를 기사화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것이 워싱턴포스트의 ‘Japan has a flag downside, too’라는 기사다. 일제 식민지 지배를 받은 한국인 욱일기에 반대하는 것은 이해가 된다는 논지지만 욱일기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것 같지는 않다고 전망하고 있다. The conversation은 일본 욱일기 사용 역사를 짚으며 최근 민족주의 정서가 강화되고 우익에서 욱일기를 사용하면서 동아시아국가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에서도 대체적으로 욱일기 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었지만 최근 자위대 욱일기 게양 갈등이 불거지면서 이를 자각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년전부터 우파성향 네티즌을 중심으로 한국의 욱일기 반대에 대해 조직적 대응을 할 것을 주문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6. 결론: 욱일기를 어떻게 봐야 하나

욱일기 반대 사이트와 많은 네티즌들은 욱일기는 전범기라고 주장한다. 위에서 봤듯이 욱일기를 둘러싼 문제는 많은 오해와 잘못된 상식에 기반하고 있다. 결론을 짓자면 욱일기는 전범기가 아니다. 전범기란 것이 없기 때문이다. 자위대가 쓰는 욱일기는 일본 파시즘의 상징(Japan facist image)을 계승한 것이다. 그렇다고 욱일기가 하켄크로이츠와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도 아니다. 일본이 많은 학살과 전쟁범죄를 저지른 것은 사실이지만, 욱일기가 이런 인종청소를 상징한다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독일의 반나치법안은 하켄크로이츠만 금지한 것이 아니라 인종청소와 관련된 광범위한 문양(예를 들면 나치친위대 문양, 백인우월주의를 상징하는 켈트 십자가 등)을 포괄적으로 금지했다. 반인륜적 인종차별을 금지한다는 명확한 목표가 있는 것이다. 반면 한국의 욱일기 반대는 그 목표가 모호하다. 전쟁범죄는 히틀러와 천황만 저지른 것이 아니다. 전 세계적인 공감을 얻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나치의 상징. 출처: 위키피디아

욱일기와 욱광문양을 동일시하는 것도 문제다. 경과가 어찌됐든 욱광문양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모두 금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서경덕 교수 같은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욱광문양에 항의하는 방식으로 욱일기 문제를 세계에 알렸다고 보는 경향이 있는데 오히려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그래서 욱일기 비판은 매우 전략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잘못 건드리면 역공받을 가능성도 있다. 굳이 욱일기 문제를 거론해야 한다면 두루뭉술하게 ‘전범기’라는 표현을 쓸 것이 아니라 ‘일본 파시즘의 상징’이라는 것을 명확히 밝히고 현 육상 해상 자위대 깃발이 ‘일본제국 군기’를 계승했다는 점을 지적해야 한다. 법적으로 일본은 군대를 가질 수 없는데 자위대가 일제 황군의 깃발을 계승해 제국주의적 야욕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email protected] 최근글보기 김준일 2001년부터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주로 사회, 정치, 미디어 분야의 글을 썼다. 현재 뉴스톱 대표를 맡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톱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경덕, 日 외무성 욱일기 광고에 맞대응 ‘욱일기=하켄크로이츠 강조’

전 세계 욱일기 퇴치 캠페인을 꾸준히 펼쳐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이번에는 욱일기 관련 일본어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광고를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이는 최근 일본 외무성이 욱일기 관련 한국어 영상을 한국측 유튜브에 광고해 큰 논란이 된 것에 대한 맞대응으로, 일본 측 유튜브에 광고를 집행한 것이다.2분 분량의 이번 욱일기 영상은 지난 2018 러시아 월드컵 당시 한국어 및 영어로 제작해 전 세계에 홍보해 온 것으로, 이번에 일본어로 바꿔 다시금 제작한 영상이다.영상의 주요 내용은 욱일기는 나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의미를 지닌 ‘전범기’임을 알리고, 독일은 하켄크로이츠의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또한 세계인들이 좋아하는 축구를 소재로 하여 FIFA의 공식 인스타그램과 월드컵을 주제로 한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욱일기 문양을 항의를 통해 수정한 사례를 들었다.특히 2017년 아시아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욱일기 응원이 문제가 된 후,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일본의 해당 팀에게 1만 5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한 사실도 밝혔다.이번 일을 기획한 서 교수는 “일본 외무성 욱일기 영상에는 2차 세계대전과 태평양전쟁 등에서 ‘전범기’로 사용했다는 설명을 빼 놓은게 가장 큰 문제”라며 “이는 전쟁범죄를 부인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또한 그는 “개인 사비로 진행하는 것이라서 일본 정부의 물량공세 만큼의 광고 집행은 못하지만, 누리꾼들과 함께 각 종 SNS를 통해 욱일기의 역사적 진실을 전 세계에 꾸준히 알려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송치훈 동아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 상징에 나타난 문화정체성의 메타언어 분석

본 연구는 그레마스 구조기호학(Structural Semiotics)의‘의미 생성 행로(parcours génératif de la signification)’를통해 하켄크로이츠(Hakenkreuz)와 욱일기(旭日旗)가 표상하고 의미하는 문화정체성의 메타언어를 추출함으로써 제국주의 독일과 일본의 문화정체성을 분석 및 비교하고자하였다. 먼저 ‘담화 구조(Strukture discursive)’의 담화층을분석함으로써 상징의 의미변화를 통한 텍스트 실현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하켄크로이츠의 상징원형은 행운을 의미하는 스와스티카로서 유럽의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문양이었는데 제국주의 독일의 핵심상징으로 전용되면서 게르만⋅우수혈통⋅전쟁으로 변화하였다. 욱일기의 상징원형은 서광⋅희망을 의미하는 일족문양(日足紋樣)이었는데 제국주의 일본의 핵심상징으로 사용됨으로써 군대⋅천황⋅전쟁으로 의미가전이되었다. ‘기호-설화 구조(Strukture sémio-narrative)’의 표층에서 ‘행위자 모델(modèle actantiel)’을 통한 분석방법으로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전의 제국주의 시대와 종전 이후 탈 제국주의 시대의 행동자(actant)를분석함으로써 독일과 일본에는 개인 권력 체제와 집단 권력 체제라는 차이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전후에 독일은 이데올로기 상징을 배척하고, 일본은 상징에 계속 집착함을 알 수 있었다. 심층에서 ‘기호 사각형(carré sémiotique)’을 통한분석으로는 민족이라는 공통범주의 배경 속에서 ‘우수’와 ‘열등’의 대립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 상징에 나타난 문화정체성의 메타언어는다음과 같은 차이를 설명하고 있었다. 첫째, 상징 활용에 있어 독일은 국기, 총통기, 군대기에 하켄크로이츠와 다른 요소를 ‘통일’적으로 적용한 후, 부분 변형하여 사용하였지만 일본은 일장기, 천황기, 욱일기를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통치체제로서 히틀러 ‘개인’인 1인체제와 천황과 천황파, 군부라는 ‘집단’ 체제의 차이점이 있었다. 셋째, 이데올로기의 실현 방법으로 독일은 타 민족에 대한 ‘제거’ 를, 일본은 타 민족에 대한 ‘지배’를 통해 제국주의의확장을 추구하였다. 넷째, 독일은 전후 하켄크로이츠와의 ‘단절’을, 일본은 전통이라는 명목 하에 욱일기를응원기, 군기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대립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데올로기 상징에 대한 구조기호학분석을 통하여 문화정체성의 메타언어를 규명함으로써 상징 내부의 의미 체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있었다. 뿐만 아니라 비슷해 보이는 독일과 일본 제국주의 간의 차이점도 구별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도상 위주 연구의 한계를 부분적으로 극복했다고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정체성의 포괄적 의미를 해독하는 데는 아직도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음을 밝혀둔다.

This examine tried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cultural id of imperialism Germany and Japan by extracting the meta – language of cultural id, which Hakenkreuz and Wookil signify and imply of, by way of the ‘parcours génératif de la signification’ of Structural Semiotics of Greimas. First, by analyzing the ‘Diskursive Ebene’ of ‘Strukture discursive’, we may verify the textual content realization course of by altering the which means of the image. In different phrases, the symbolic prototype of Hakenkreuz was a swastika that meant success, and it turned a normal and in style sample of Europe, however it was reworked right into a German, glorious bloodline and battle by changing into a core image of Imperialism Germany. The symbolic prototype of Wookil was a clan sample which means daylight and hope, however it was used as a core image of Imperialism Japan, which means the navy, emperor, and battle. We may know the distinction between Germany and Japan by evaluation of ‘actant’ in ‘Oberflächenebene’ of ‘Strukture sémio-narrative’ about age of Imperialism earlier than the top of World War II and the post-war period of Imperialism. The distinction was as follows. Germany was a particular person energy system, Japan was a collective energy system, and because of these variations, Germany rejected Hakenkreuz after the Second World War however Japan continued to obsess about Wookil. By evaluation of ‘carré sémiotique’ in ‘Tiefenebene’ of ‘Strukture sémio-narrative’, we may verify the battle between ‘glorious’ and ‘inferior’ within the background of the widespread class of the nation. The meta-language of cultural identities within the symbols of Hakenkreuz and Wookil defined the next variations. First, in using emblem, Germany used Hakenkreuz and different components as ‘unification’ in nationwide flag, the chief flag, and navy flag, after which partially modified it, however Japan used nationwide flag, Emperor of Japan flag and Wookil, below the precept of ‘separation’. Second, there was a distinction between Hitler’s ‘particular person energy system’ and the emperor, the pro-emperor, and the navy’s ‘collective energy system’ Third, as a technique of realizing ideology, Germany pursued the enlargement of Imperialism by way of ‘elimination’ of different peoples however Japan pursued the enlargement of Imperialism by way of ‘domination’ of different peoples. Fourth, Germany was in a position to verify the ‘disconnection’ with Hakenkreuz after World War II, however Japan selected ‘continuity’ of Wookil within the title of custom. In this examine, the structural semantics of the ideological image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meta – language of the cultural id, in order that the semantic system throughout the image could possibly be grasped structurally. It additionally distinguished the variations between Germany and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it may be mentioned that we now have partially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the present icon-based analysis. However, it’s clear that there are nonetheless many areas that have to be supplemented to decipher the excellent which means of cultural id.

“‘욱일기=나치 전범기’…올림픽 사용은 아시아인에 큰 상처”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욱일기 사용 금지 재촉구 동영상 배포

반크 도쿄 올림픽서 욱일기 사용 금지 홍보 반크는 최근 일본 외무성이 홈페이지에 욱일기 홍보를 게재한 것과 관련해 도쿄 올림픽에서 욱일기 사용을 막기 위한 방법을 담은 동영상을 제작해 배포했다. [반크 제공]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아시아인들에게 일본 욱일기는 나치의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전범기라고 주장하며 2020년 도쿄(東京) 올림픽에서 사용 금지를 강력히 재촉구하는 동영상을 제작, 배포했다.

욱일기는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깃발로, 제2차 세계대전기간 사용된 전범기다.

일본 외무성은 8일 홈페이지에 욱일기 사용에 문제가 없다는 내용을 기존 일본어·영어 외에 추가로 한국어·프랑스어·스페인어로도 게재했다.

광고

앞서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욱일기를 반입 금지품으로 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반크는 “욱일기는 나치 독일의 상징인 갈고리 십자가 문양의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제국주의의 상징”이라며 “도쿄 올림픽에서 욱일기가 나부낀다면 이는 일본 제국주의의 아픈 과거를 간직한 아시아인들에게 다시 상처를 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도쿄 올림픽 욱일기 금지! 욱일 전범기를 세계에 알리는 방법'(https://youtu.be/i9vTcXeyEv4)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에서는 3가지 행동요령을 제시해놓았다.

그 행동요령은 전 세계 홀로코스트 관련 박물관·기념관·교육센터에 욱일기 진실 알리기, 세계 유명 온라인 쇼핑몰에 욱일기 디자인 상품 판매 중단 요청하기, 세계 친구들에게 욱일기가 전범기임을 적극 알리기 등 이다.

반크의 이승빈 청년이 욱일기 관련 자료와 편지를 보내 그로스-로젠 홀로코스트 박물관으로부터 “욱일기를 알리려는 노력에 감사하고 한국인이 겪은 비극적인 역사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답장을 받았던 일화도 소개했다.

조중희 폴란드 유학생이 현지 유명 음료수 회사에 욱일기 문양이 제품에 사용된 것을 항의한 결과 2주 만에 생산 중단을 이끌어 낸 사례도 동영상에 담았다.

독일은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금지하고 있고, 이 표식을 그린 물건을 제조, 보관, 반입하면 3년 이하의 금고, 징역, 벌금형을 선고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내용도 전한다.

반크는 조만간 영어로도 같은 내용의 동영상을 만들어 배포할 계획이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11일 “도쿄올림픽에서 욱일기 사용이 허용된다면 세계 평화를 도모하는 지구촌 최대 축제가 역대 가장 부끄러운 올림픽으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국제사회는 ‘올림픽에서 어떠한 형태의 시위나 정치적·종교적·인종적 선전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올림픽위원회 헌장을 상기하고 여론을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日 외무성 욱일기 홍보 게재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 게시된 욱일기 설명 자료 [일본 외무성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SG, 욱일기 의미 몰랐나?… 파비앙 “나치 하켄크로이츠와 동일”

프랑스 리그앙 파리생제르맹(PSG)이 2022 일본투어를 홍보하는 영상에 ‘욱일기’를 사용해 논란이다. 사진은 PSG의 일본투어 홍보 게시물. /사진=PSG 인스타그램

PSG 욱일기가 들어간 홍보 영상을 게시한 지 2시간 만에 삭제했다. 사진은 PSG가 당초 게시했던 일본 투어 홍보영상의 한 장면. 현재는 삭제된 상태. /사진=PSG 유튜브

사진은 파비앙(왼쪽)과 파비앙이 PSG와 대화 나눈 내용. /사진=PSG 팬카페, 파비앙 인스타그램

프랑스 리그앙 소속 파리 생제르맹(PSG)이 2022 일본투어를 홍보하는 영상에 욱일기를 사용해 논란이 됐다.PSG는 지난 16일 공식 유튜브에 욱일기가 들어간 일본투어 홍보 영상을 올렸다. 해당 영상은 게시된 지 2시간 만에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그 배경엔 한국 영주권을 취득한 프랑스 국적 방송인 파비앙의 개인적인 노력이 있었다.파비앙은 구단 측에 직접 연락해 욱일기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수정 요청을 했다고 알려졌다. 그는 구단 측과 나눈 메시지 대화 내용을 네이버 PSG 팬카페에 게시했다.파비앙은 “유럽 사람 대부분은 욱일기가 일본의 국가 또는 비디오 게임에서 등장하는 깃발이라고만 생각한다”며 “이 깃발은 욱일승천기라고 불리며 일본의 전쟁 범죄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욱일기는 여러 아시아 국가와 연관됐고 그 중 특히 한국과 연관됐다”며 “한국에서는 욱일기가 나치의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것”이라고 부연했다.이에 구단은 “관련된 영상을 지우고 새로운 버전을 게시하겠다”며 “알려줘서 고맙다”고 답했다.파비앙은 “욱일기가 들어간 홍보 영상을 보고 상처받은 사람들에게 대신 사과드린다”며 “이번 실수를 통해 많은 프랑스·유럽인들이 제대로 알고 배웠으면 좋겠다”고 전했다.욱일기는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했던 군기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다. 일본은 아직도 육상·해상자위대의 군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이 전범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하켄크로이츠는 나치 독일이 사용했던 국기다. 독일에서는 나치의 전범을 인정하고 역사적 고증이 불가피할 때를 제외하고는 사용이 금지되는 등 하켄크로이츠의 사용이 엄격하게 관리된다.일본 욱일기 사용은 종종 스포츠 경기 응원에 사용돼 논란이 되는 등 사회적 파장이 적지않다. 프랑스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침공을 받으며 피해를 입었던 국가 중 하나다. 이 같은 배경을 감안할 때 PSG라는 명문팀이 정말 욱일기의 숨겨진 의미를 몰랐겠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투:줌] 하켄크로이츠는 지우는데 욱일기는 안지운다…인스타그램의 ‘이상한’ 정책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 모두 제2차 세계대전 전쟁 범죄를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다. 하지만 두 상징에 대한 인식은 확연히 다르다. 독일 나치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는 잘못된 상징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지만,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욱일기는 그렇지 않다. 이는 온라인 공간에서도 마찬가지다. 사용자 약 10억 명(미국 Statista 조사)이 넘는 SNS 인스타그램이 대표적이다.

▲인스타그램에서 하켄크로이츠 사진을 신고하자 10분 만에 삭제됐다. (출처=인스타그램 캡처)

인스타그램에서 하켄크로이츠는 인종·혐오 상징으로 삭제 대상이다. 실제로 기자가 하켄크로이츠 사진을 내건 계정을 신고하자 약 10분 만에 바로 사진이 삭제됐다. 이 때문인지 실제로 인스타그램에서 하켄크로이츠와 독일 나치를 옹호하거나 파시즘, 인종차별을 옹호하는 게시물을 찾기 어려웠다. 대부분 하켄크로이츠 관련 언론 보도이거나 역사 자료였다.

하지만 욱일기는 달랐다. 인스타그램에는 욱일기와 일본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게시물이 넘쳤다. 인스타그램에서 #imperialjapan 해시태그 관련 게시물은 5000여 개가 넘었는데 대부분 일본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게시글이다.

▲욱일기를 내걸고 일본 제국주의를 미화하는 내용을 올린 계정을 신고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진 속 계정 외에도 여러 게시물을 신고했으나 삭제가 안됐다. (츨처=인스타그램 캡처)

기자가 직접 욱일기를 프로필 사진으로 내건 계정과 관련 게시물을 신고하자, 약 11시간 만에 삭제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답변에는 ‘인스타그램은 전 세계적인 커뮤니티이므로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인스타그램 코리아를 통해 본사에 공식 문의했지만 “답변하기 어렵다. 죄송하다”라는 짧은 답변만을 받았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 “욱일기가 전범기라는 사실 더 널리 알려야”

▲독일 베를린의 역사 박물관에서 한 관람객이 나치 관련 전시물을 보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 박기태 대표는 하켄크로이츠가 금지된 사례를 발판 삼아 욱일기 역시 금지해야 한다 말했다. 박 대표는 이투데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하켄크로이츠가 아마존에서 금지된 것이 불과 얼마 전인 7월이다. 유대인들은 하켄크로이츠가 전범기라는 사실을 1950년도부터 알렸는데, 온라인 플랫폼에서 공공연한 상징으로 금지되는 데 70년이 걸린 셈”이라며 홍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한류 등으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올라가면서, 욱일기 관련한 홍보 활동도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다. 박 대표는 “요즘은 SNS를 통해 정보가 빠르게 퍼지므로 국제 사회에 제대로 호소한다면 욱일기에 대한 인식 개선이 빠르게 될 것이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9월 미국의 유명 온라인 쇼핑몰 월마트에서 욱일기를 판매하는 회사 ‘온라인 스토리'(Online Story)가 판매 중지를 결정한 일이 있었다. 1월에는 영국의 ‘런던 칼리지 오브 패션'(London College of Fashion)이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욱일기 사진 사용에 대해 사과한 적도 있었다. 현재 반크는 해외 온라인 청원 사이트에서 “도쿄올림픽에서 욱일기를 사용 금지하고, 아마존과 구글에서 욱일기 관련 상품을 금지하라”는 내용의 청원을 진행 중이다.

욱일기는 전쟁 범죄를 미화하는 상징임과 동시에 피해자들에게 전쟁의 기억을 되살린다는 점에서 또 다른 문제를 낳는다. 지난해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자 故 김복동 할머니는 2018년 10월 3일 수요집회에서 “욱일기는 용납할 수 없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일본의 역사 왜곡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지금, 우리가 욱일기 문제에도 목소리를 높여야 하는 이유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욱일기(일본어: 旭日旗, きょくじつき 쿄쿠지쓰키[*] , 영어: Rising Sun Flag)는 빨간색 원 주위에 욱광(旭光)을 그린 깃발이다. 욱일기는 아스카 시대(538년-710년)부터 사용되었지만, 에도 시대(1603년-1868년)에 각지의 다이묘들이 사용했다.[1][2][3]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4] 일본 제국(日本帝國)이 사용했던 일본의 군기로[5], 현재의 자위대(自衛隊)가 사용하는 깃발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욱일승천기(旭日昇天旗)라고도 부르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으로 승천은 세계로 뻗어나가다,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의미이다.[6] 하켄크로이츠와 같이 전범기(전쟁범죄기)로 지정되어있어 전세계에서 금지된 깃발이다.

개요 [ 편집 ]

일본 제국 시대 [ 편집 ]

1870년 5월 15일에 16줄 욱일기가 일본 제국 육군(IJA)기로 사용되었으며, 1889년 10월 7일에 일본 제국 해군(IJN) 군함기로 사용되면서 모든 일본군에서 욱일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어서 일본 제국 해군의 각종 장군기(將軍旗)도 8줄 욱일기를 응용하여 사용하였다.[7]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 편집 ]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료되었다. 그러나 일본국 헌법에 따라 – 자위(自衛) 목적으로 – 창설된 해상자위대(JMSDF)가 1954년 6월 30일부터 변형된 16줄 욱일기를 사용하였고, 육상자위대(JGSDF) 또한 변형한 8줄 욱일기를 사용하였다.[8][9]

욱일기에 대한 인식 [ 편집 ]

아사히 신문사 깃발

효고현 에 있는 한 가게에 걸린 다이료키

일장기와 마찬가지로 태양을 상징하고 고대부터 사용되었다.[10][11][12] 일본에서 욱일 문양은 간혹 스포츠 경기나 캔맥주 등의 같은 상품 라벨[13], 일본의 신문사 아사히신문의 회사기, 어부들이 다는 타이료우키(大漁旗) 등으로 사용되고는 한다. 이를 근거로 욱일문양이 민간영역에서 사용되거나 되어왔으므로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 존재하나, 이는 욱일문양의 확산에 있어 근대적 경험의 역할을 간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욱일문양과 욱일기에 대한 이해 없이 양자를 동일시한다는 점에서 동아시아적 맥락의 욱일기에 대한 문제제기와는 다소 동떨어진 성격을 지닌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욱일기를 문제시 하는 것은 국가 상징에 준하는 의미를 부여받아 군기 혹은 국가 상징으로 사용된 역사적 맥락에 자주 기인한다.[14] 일본 제국의 침략을 경험하였던 대한민국, 북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욱일기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한 것은 이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나아가 일본 제국군에 의하여 난징대학살을 경험한 중국 난징시에서는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15]

즉, 욱일문양과 욱일기의 관계는 만자(卍字, swastik)와 이를 사용한 하켄크로이츠의 관계와 유사하다. 원형 중심에서 뻗어나가는 방사선 모양이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을지언정, 욱일기에 대한 문제제기는 깃발이 사용된 근대적 맥락과 긴밀히 연결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일본제국이라는 역사적 맥락에 대하여 이해 수준이 높지 않은 동아시아 이외의 지역에서는 욱일기를 단순한 방사선 모양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이러한 몰이해는 욱일기에 대한 문제제기를, 방사선 문양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로 오인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대한민국 [ 편집 ]

국가보안법으로 경우에 따라 사용을 제한받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공기와는 달리, 욱일기에 대해서는 사용을 제한하는 법령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의 국가상징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맥락에서, 해당 상징에 대한 반감이 매우 크다.

비슷한 깃발 [ 편집 ]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

‘하켄크로이츠’와 ‘욱일기’

김은정 선임기자

‘전범기’라 이름 붙여진 깃발들이 있다. 전쟁범죄자를 뜻하는 ‘전범’과 깃발을 뜻하는 ‘기’를 합해 붙여진 이름이니 명예스럽지 않거니와 쓰임의 목적이 분명하니 어느 국가나 쉽게(?) 가질 수 있는 깃발이 아니다. 우리에게 알려진 전범기들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전범국 군대가 군기로 사용했던 것들이다. 독일의 ‘하켄크로이츠’와 일본의 ‘욱일기’가 그것이다. 독일 나치즘의 상징이 된 하켄크로이츠는 ‘갈고리 십자가’를 뜻한다. 그 생김새가 불교의 상징인 만(卍)자와 비슷한데다 만자 문양이 이미 오래전부터 쓰여온 것처럼, 하켄크로이츠도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스 고대문명에서 문양이 발견될 정도로 쓰임의 연원이 길다. 하켄크로이츠가 독일 나치즘의 상징이 된 것은 1920년 창단한 나치스가 이 문양을 정당의 상징으로 쓰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하켄크로이츠는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한 시기, 국기로도 사용될 정도로 상징성이 강했지만 1945년 독일 패전과 함께 나치스가 해체되면서 독일 정부는 아예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법으로 금지해버렸다. 일본의 욱일기는 어떤가. 일장기의 태양 문양 주위에 퍼져나가는 햇살을 형상화한 욱일기 역시 1870년 육군 군기로 사용하기 시작해 태평양 전쟁 등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는 군기로 전면에 내걸었으나 1945년 패전과 함께 육해군이 해체되면서 사용을 중단했다. 전쟁을 일으킨 국가로서 감당해야 할 불명예스러운 역사를 씻는 최소한의 선택이었을 터다. 그러나 이들 전범기의 운명은 이제 서로 달라져 있다. 독일이 법으로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금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은 끊임없이 욱일기의 부활을 꾀하고 있는 탓이다. 1954년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를 창설하면서 욱일기를 군기로 다시 들여온 일본은 군국주의에 대한 반성은 커녕 외레 과거 체제의 결속을 더 견고히 다져가는 모양새다. 그 덕분(?)일 터. 내년 도쿄올림픽에서도 일본 국민들이 욱일기를 흔들며 응원하는 광경을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됐다. 일본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가 욱일기 사용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IOC가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원칙적인 제재가 아닌 마당에 욱일기 사용은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기야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 지난해 제주해군기지에서 열린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서조차 일본 해상자위대 군함은 ‘욱일기’ 게양으로 논란을 불렀다. 궁금해진다. 왜 일본은 군국주의와 제국주의의 망령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

‘전범기’라 이름 붙여진 깃발들이 있다. 전쟁범죄자를 뜻하는 ‘전범’과 깃발을 뜻하는 ‘기’를 합해 붙여진 이름이니 명예스럽지 않거니와 쓰임의 목적이 분명하니 어느 국가나 쉽게(?) 가질 수 있는 깃발이 아니다.

우리에게 알려진 전범기들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전범국 군대가 군기로 사용했던 것들이다. 독일의 ‘하켄크로이츠’와 일본의 ‘욱일기’가 그것이다.

독일 나치즘의 상징이 된 하켄크로이츠는 ‘갈고리 십자가’를 뜻한다. 그 생김새가 불교의 상징인 만(卍)자와 비슷한데다 만자 문양이 이미 오래전부터 쓰여온 것처럼, 하켄크로이츠도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스 고대문명에서 문양이 발견될 정도로 쓰임의 연원이 길다.

하켄크로이츠가 독일 나치즘의 상징이 된 것은 1920년 창단한 나치스가 이 문양을 정당의 상징으로 쓰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하켄크로이츠는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한 시기, 국기로도 사용될 정도로 상징성이 강했지만 1945년 독일 패전과 함께 나치스가 해체되면서 독일 정부는 아예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법으로 금지해버렸다.

일본의 욱일기는 어떤가. 일장기의 태양 문양 주위에 퍼져나가는 햇살을 형상화한 욱일기 역시 1870년 육군 군기로 사용하기 시작해 태평양 전쟁 등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는 군기로 전면에 내걸었으나 1945년 패전과 함께 육해군이 해체되면서 사용을 중단했다.

전쟁을 일으킨 국가로서 감당해야 할 불명예스러운 역사를 씻는 최소한의 선택이었을 터다. 그러나 이들 전범기의 운명은 이제 서로 달라져 있다. 독일이 법으로 하켄크로이츠 사용을 금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은 끊임없이 욱일기의 부활을 꾀하고 있는 탓이다.

1954년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를 창설하면서 욱일기를 군기로 다시 들여온 일본은 군국주의에 대한 반성은 커녕 외레 과거 체제의 결속을 더 견고히 다져가는 모양새다.

그 덕분(?)일 터. 내년 도쿄올림픽에서도 일본 국민들이 욱일기를 흔들며 응원하는 광경을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됐다. 일본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가 욱일기 사용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IOC가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원칙적인 제재가 아닌 마당에 욱일기 사용은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기야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 지난해 제주해군기지에서 열린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서조차 일본 해상자위대 군함은 ‘욱일기’ 게양으로 논란을 불렀다.

궁금해진다. 왜 일본은 군국주의와 제국주의의 망령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다음은 Bing에서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 사피엔스
  • 외계통신
  • tvN
  • 박경림
  • 김동완
  • 이독실
  • 제프리 존스
  • 프랭크 스미스
  • 안톤 슐츠
  • 존 델러리
  • 천 리
  • 사피엔스 스튜디오
  • 신화
  • 박경림 조승우
  • 박경림 인터뷰
  • 박경림 결혼식
  • 박경림 결혼
  • 박경림 영화 시사회
  • 이독실 교수
  • 이독실 과학교실
  • 이독실 직업
  • 이독실 유사과학
  • 이독실 블랙홀
  • 김앤장 변호사
  • 외계통신 김동완
  • 외계통신 이독실
  • 외계통신 여자력
  • 욱일기 뜻
  • 욱일기 해외반응
  • 욱일기 일본반응
  • 욱일기 뉴스
  • 욱일기 애니
  • 욱일기 참교육
  • 욱일기 논란
  • 욱일기 반응
  • 일본 사과 횟수
  • 일본 사과 팩트
  • 일본 사과 문화
  • 일본 사과 번복
  • 욱일승천기
  • 전범기
  • 전범기 해외반응
  • 전범기 참교육
  • 제국주의
  • 전범국
  • 전범국가
  • 한일전쟁
  • 한일갈등 해외반응
  • 한일갈등 원인
  • 한일갈등 관련주
  • 일본불매운동
  • 일본불매운동 일본반응
  • 일본불매운동 현황
  • Diggle
  • 디글
  • 잡학지식
  • 교양
  • 시사
  • 인문학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YouTube에서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욱일기는 나치기와 다르다” 독일인 기자는 욱일기 논란을 어떻게 생각할까 | #외계통신 #사피엔스 | 하켄크로이츠 욱일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예수님 은 누구 신가 악보 | [새찬송가] 96장 예수님은 누구신가 26082 좋은 평가 이 답변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