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홈 플러스 1 호점 – [대구MBC뉴스] 홈플러스 전국 1호점,오늘 문 닫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au.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au.taphoamini.com/photos/.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대구MBC뉴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339회 및 좋아요 2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홈 플러스 1 호점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대구MBC뉴스] 홈플러스 전국 1호점,오늘 문 닫아 – 홈 플러스 1 호점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대구MBC뉴스]#홈플러스 #홈플러스대구점 #대형마트
진실을 향해 깊이있게 접근하는 대구MBC NEWS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대구MBC 계정 메시지나 댓글을 통해 제보 주세요~
– 대구MBC 웹사이트 : https://dgmbc.com/news
– 트위터 : https://twitter.com/DGMBCNews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dgmbcnews
–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dgmbcdigital
– 제보시스템 : https://mbcjebo.com
– 제보전화 : 053.740.9900
– 카카오톡제보 : 010.4088.1577
(친구찾기 ID검색 dgmbcnews)
홈 플러스 1 호점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홈플러스 – 나무위키
1997년 9월 4일, 삼성물산이 당시 수도권 대형마트 경쟁을 피해 지방에 먼저 진출, 1호점인 대구점을 구 제일모직 대구공장 일부 부지에[6] 개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9/2021
View: 9139
23년 된 홈플러스 1호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 글로벌이코노믹
홈플러스가 대구점 자산유동화를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안산점과 대전 탄방점, 9월 대전 둔산점에 이은 네 번째 자산유동화다.
(*1*)
Source: m.g-enews.com
Date Published: 5/15/2021
View: 8303
홈플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홈플러스(Home plus)는 홈플러스와 홈플러스테스코가 공동 설립한 대형 할인점 브랜드다. 홈플러스 주식회사. 홈플러스 로고.jpg. 2018년 6월 25일부터 사용된 로고.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6/27/2022
View: 5952
홈플러스 주식회사 공식 홈페이지
1; 2; 3. Previous; Next. 사업 및 서비스 소개BUSINESS & SERVICE; 대표이사 이제훈CEO Message; 새 소식NEWS + 더보기 · · [공식홈페이지]홈플러스 8월 휴무 점포 …
Source: company.homeplus.co.kr
Date Published: 3/14/2022
View: 864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홈 플러스 1 호점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대구MBC뉴스] 홈플러스 전국 1호점,오늘 문 닫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대구MBC뉴스] 홈플러스 전국 1호점,오늘 문 닫아](https://i.ytimg.com/vi/mvUtwqk1pQo/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홈 플러스 1 호점
- Author: 대구MBC뉴스
- Views: 조회수 3,339회
- Likes: 좋아요 23개
- Date Published: 2021. 12. 23.
- Video Url hyperlink: https://www.youtube.com/watch?v=mvUtwqk1pQo
‘홈플러스 1호’ 대구점 24일 폐점…부지에 49층 주상복합 입주
개점 24년만에 영업 종료…’칠성동 마트 대전’ 추억속으로
불황 장기화 점포 매각 여파…부근에 ‘이마트’만 홀로 남아
홈플러스 전국 1호점이 오는 23일을 끝으로 폐업에 들어간다. 1일 오전 대구 북구 홈플러스 대구점 외벽에 ‘고별 처분’ 행사가 열린다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영진 기자 [email protected]
오는 23일을 마지막으로 홈플러스 1호점, ‘대구점’이 개점 24년 만에 오는 24일 문을 닫는다. 대구점 부지에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선다.
지난해 10월 롯데마트 칠성점에서 이어 홈플러스 대구점도 문을 닫으면서 북구 침산네거리를 중심으로 반경 300m 내에 ‘빅3’ 대형마트가 모두 들어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칠성동 마트 대전’도 추억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1일 찾은 북구 칠성동 홈플러스 대구점. 문구제품 등 공산품 진열대 곳곳엔 빈 공간이 많았다. 폐업 3주가량을 앞두고 더 이상 물건을 들여놓지 않는 모습이었다. 기존 입점 업체가 나간 뒤 외부 업체가 ‘고별전’ 등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20년 이상 홈플러스 대구점을 찾았다는 윤모(66) 씨는 “2000년대 초반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이곳을 찾았을 때는 계산대 모든 곳이 고객들로 붐볐다. 대기하는 데만 30분 넘게 걸리곤 했다”고 추억했다.
그는 “올해를 마지막으로 문을 닫는다니 옛 생각이 나서 찾았다. 어수선해 옛날 느낌은 나지 않는다”고 했다.
20년 전 경북 문경에 살았다는 김윤희(57) 씨는 “당시 대구경북 홈플러스 점포는 대구점이 유일했기 때문에 주말이 되면 문경에서 자동차를 끌고 와 홈플러스 나들이를 하곤 했었다”고 회상했다.
1일 찾은 홈플러스 대구점 매장 내부 모습. 변선진 기자
홈플러스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유통업계 불황을 이유로 자산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점뿐만 아니라 수도권 1호점인 안산점과 대전탄방점·둔산점·가야점 등 전국의 굵직한 홈플러스 매장이 폐점 수순을 밟고 있다.
홈플러스 대구점 부지엔 최고 49층, 633가구 규모의 주상복합단지가 들어선다. 내년 상반기 중 착공 예정이다.
앞서 롯데마트 칠성점도 지난해 10월 영업 부진을 이유로 폐점하면서 이제 침산네거리 인근에는 대형마트 3사 중 ‘이마트’ 홀로 남게 됐다.
홈플러스 대구점에서 700여m 떨어진 이마트 칠성점은 폐점 또는 규모 축소 대신 체험공간 강화·전문점 확대 등 리뉴얼 전략을 택했다. 업계는 리뉴얼 이후 칠성점 매출이 40% 정도 는 것으로 추정한다.
업계 관계자는 “폐점을 거듭하다 보면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점차 밀려날 수밖에 없다”고 했다.
1997년 개점 전국 1호 홈플러스 ‘대구점’, 결국 팔렸다
홈플러스 대구점. 대구일보 홈페이지
홈플러스 대구점이 결국 팔렸다고 대구일보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13일 오후 대구점에 대한 자산유동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홈플러스는 지난 7월 밝힌 대구점을 포함해 자산유동화 검토 대상 전국 점포(안산점, 대전 탄방점·둔산점)의 매각을 모두 확정했다.
대구점의 계약 상대와 계약금액 등은 계약서 상 비밀유지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대지면적은 1만265㎡(약 3천105평)에 달한다.
홈플러스 대구점은 1997년 9월 대구 북구 칠성동에 개점한 전국 홈플러스 1호점이다. 대구에서도 최초의 대형마트로 숱한 화제를 뿌리며 승승장구했으나 인근의 이마트 칠성점 개점 등 경쟁 업체의 진출로 인한 매출 하락과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한 사업환경 등의 요인으로 매각 대상에 이르게 됐다.
여기에 대구점이 입지한 북구 칠성동의 부동산가치가 크게 오른 것도 매각 요인으로 분석된다.
홈플러스는 직원 고용 승계를 보장하며 협력 업체의 변화 적응 등을 위해 2021년 12월까지 영업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오랜 역사를 가진 점포로 직원들은 물론 회사 입장에서도 아쉬움이 있지만, 안정적인 사업 운영과 미래 사업을 위한 유동성 확보 계획의 가시성을 높이게 됐다”며 “자산유동화와는 별개로 대구점 직원들의 고용은 보장되며 입점 점주와도 협상기간을 갖고 보상절차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구경북기자협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마지막 한달’ 홈플 1호점, 눈물의 고별전
다음 달 23일 폐점을 앞둔 대구 북구 칠성동 홈플러스 대구점. 1997년 9월 국내 홈플러스 1호점으로 문을 연 홈플러스 대구점이 폐점을 앞두고 고별 행사를 열고 있다.
홈플러스 1호점의 시계가 곧 멈춘다. 1997년 9월 처음 문을 연 이후 24년 만이다.
16일 오후 찾아간 대구시 북구 칠성동 홈플러스 대구점. 외벽에는 붉은색 현수막이 건물을 감싸고 있었다. 현수막에는 다음 달 23일 폐점을 앞두고 ‘고별 처분’ 행사가 열린다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1층 매장은 이미 대형마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고 창고 방출 할인 매장과 같았다. 매장 중앙에서는 전시용 가전제품을 할인해 판매하고 있었고,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포츠 브랜드 의류 할인 점포가 들어서 있었다.
기존 입점 업체가 떠난 뒤 마련된 빈 공간을 일시적으로 빌려 ‘창고 대방출’ ‘눈물의 고별전’ 등을 진행하는 업체가 들어선 것이다. 2층 가전매장 곳곳에서도 고별 행사가 진행 중이었고, 신선식품 등을 판매하는 지하 1층에서만 기존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매장을 찾은 전모(65)씨는 “겨울옷을 싼 값에 살 수 있을까 싶어 매장을 찾았다”며 “집과 가까워 홈플러스를 자주 이용했는데, 이제는 조금 떨어진 이마트로 장을 보러 가야 한다”고 아쉬워 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10월 국내 1호점인 대구점 매각 계약 체결을 발표한 뒤 올해 말까지 영업 후 폐점한다고 발표했다. 대구점 부지에는 지하 5층, 지상 49층 규모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설 전망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주상복합아파트 건축심의는 지난 8월 통과됐고, 사업 주체 측의 사업계획 승인 신청서 접수만 남은 상태다.
홈플러스 대구점에 따르면 폐점을 앞두고 매장 직원 75명을 대상으로 고용유지를 위한 점포 전환 배치가 진행 중이었다. 희망 근무지 사내 공모를 받아 2차 면접까지 진행했고, 퇴직을 신청한 일부 직원의 경우 고용안정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6월 폐점한 대구스타디움점의 경우 영업 종료 후 근무자 59명을 대구권역 11개 점포로 전환배치 했다.
홈플러스 대구점 관계자는 “폐점 시기에 맞춰 매장 내 재고 물량의 할인율을 점차 높이는 등 고별 행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며 “현재까지 대구지역 내 추가적인 점포 매각 및 폐업 계획은 없으며, 대구점 폐점에 따라 근무 직원 및 입점 업체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글·사진=김형엽기자 [email protected]
홈플러스, 1호점인 대구점도 결국 매각… 인수대상·금액 ‘비공개’
큰사진보기 ▲ 홈플러스 대구점. ⓒ 홈플러스 관련사진보기
홈플러스가 경기 안산점과 대전 둔산점, 대전 탄방점을 매각한 데 이어 1호 매장인 대구점도 자산유동화(매각)를 확정했다.14일 홈플러스는 지난 1997년부터 운영해온 대구점에 대한 자산유동화 계약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인수 대상과 계약 금액은 공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홈플러스는 매각 이유로 온오프라인 유통업 불황과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급격한 매출 감소 등을 이유로 들었다.그러면서 대구점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1년간 현재 점포에서 근무가 가능하고 영업 종료 이후에도 고용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근무 중인 직원 80여 명은 인근 점포로 전환 배치하거나 온라인 사업 등 다른 부문으로의 이동도 고려한다는 것이다.또 입점 점주들과도 충분한 협상 시간을 갖고 거취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보상 절차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하지만 대량 실업을 우려하며 그동안 홈플러스 매각에 강하게 반발해온 노조와 시민단체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 소유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경영 위기를 빌미로 매장을 팔아 이익만 챙기려 한다”며 “고용을 지켜야 할 기업이 자기들 배만 불리려 한다”고 비판했다.노조는 또 “직원들 사이에서 고용 안정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며 “밀실매각 대신 고용안정에 힘을 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시민단체들도 “홈플러스가 매장을 매각하고 그 자리에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설 것”이라며 “대구시가 추진해온 주상복합 건축물의 용적률 400%를 유지하는 조례안이 꼭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3년 된 홈플러스 1호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이미지 확대보기 홈플러스 1호점인 대구점이 오는 2021년 12월 영업을 종료한다.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가 대구점 자산유동화를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안산점과 대전 탄방점, 9월 대전 둔산점에 이은 네 번째 자산유동화다.홈플러스는 이달 13일 대구점에 대한 자산유동화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상대와 계약금액 등은 계약서상의 비밀유지조항에 따라 공개할 수 없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올해 6월 홈플러스는 오프라인 유통업의 불황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급격한 매출 감소를 겪었다. 이에 이 회사는 불확실한 사업환경 속에서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과 미래 사업을 위한 유동성 확보를 담보하기 위해 3개 내외의 점포를 대상으로 자산유동화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대구점은 1997년 영업을 시작한 홈플러스의 첫 매장이자 23년간 대구의 대표 대형마트로 자리매김 해왔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있다. 한때 백화점에 버금가는 수익을 내며 호황을 누렸으나 인근 대형마트와의 경쟁, 온라인쇼핑 성장 등을 이겨내지 못했다.대구점 매각설이 돌자 노조 측은 폐점에 반대하며 파업 등의 방식으로 강력하게 대응하기도 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대구경북본부는 올해 8월 11일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용보장과 관련해 문제를 제기했다.홈플러스는 직원과 몰 입점 점주들이 변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대구점을 2021년 12월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점포 내 몰 입점 점주들의 입장을 최선을 다해 반영하고, 입점 점주들이 거취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정을 수립했다.이에 더해 홈플러스는 영업 종료 이후에도 고용유지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직원들은 인근 점포 전환배치 또는 온라인 사업 부문이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으로 이동 배치될 예정이다”라면서 “인력 구조조정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홈플러스 관계자는 “대구점은 오랜 역사를 가진 점포라 직원들은 물론 회사의 입장에서도 아쉬움이 크다”면서 “이번 자산유동화와는 별개로 대구점 직원들의 고용은 보장되며, 점포 내 쇼핑몰 입점 점주와도 충분한 협상기간을 갖고 성실히 보상절차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또 홈플러스 관계자는 “노조 측이 제기한 ‘인력을 인근 점포로 배치할 여력이 없어 구조조정은 불 보듯 뻔하다’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면서 “홈플러스는 점포 근무 직원 중 50대 연령 직원 수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정년(만 60세) 퇴직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앞으로 오히려 신규채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email protected]
전국 1호 홈플러스 24년 마지막 영업 “섭섭, 뜨거운 안녕”
1997년생 전국 최초 홈플러스 24일 폐업
지하 5층 지상 49층 주상복합아파트 예정
“오랫동안 사귄 첫사랑과 작별하는 기분이 들어 영상까지 찍었어요.”
전국 최초 창고형 할인매장인 대구 북구 홈플러스가 23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끝내고 24일 폐업한다. 이 매장은 1997년 9월 문을 열어 24년간 시민들의 사랑을 받았다.
23일 오전 10시 홈플러스 대구점은 안내판을 통해 마지막 영업을 알렸다. 1층 매장에 들어서자 텅 빈 진열대가 손님을 맞았다. 계산대와 고객센터에 각각 1명씩 배치된 직원 외 매장 직원은 보이지 않았다. 평소 가장 붐비던 지하1층 식품관은 텅 빈 냉장고만 요란하게 돌아가고, 2층 전자제품관은 인부들이 제품을 빼고 있었다.
24년간 함께해온 홈플러스가 폐점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지역민들은 아쉬움과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동시에 보였다. 1997년 입점과 동시에 입사한 박신규(53)씨는 “전국 140여 홈플러스 매장 중 1호점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었는데 폐점을 하니 안타깝다”며 “내일 전 직원과 이곳에서 기념사진을 찍을 예정”이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20년 단골인 이구자(78)씨도 “저렴한 물건이 많은 데다 휴식공간도 있어 20여 년을 마실하듯 드나들었는데 오늘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니 너무 가슴이 시리다”고 말했다. 물건을 환불하러 온 30대 여성은 “오늘이 마지막이라서 급하게 왔다”며 “오늘이 지나면 더 이상 올 수 없다는 생각을 하니까 묘한 기분이 든다”고 했다.
입점해 있던 매장 대부분이 이미 폐업을 했고, 남은 매장들도 부랴부랴 물건을 정리하고 있었다. 매장 입구에 있던 종합가전제품관 직원들은 상품을 박스에 포장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평소 물건을 들여오던 물류하역장은 매장 내 재고를 이동시키기 위해 대형 트럭에 물건을 싣고 있었다.
직원들은 대부분 다음 달 15일을 전후해 홈플러스 타 지점과 소형 매장인 익스프레스 매장으로 출근한다. 24일에는 전 직원이 송별회를 한다.
홈플러스 맞은편에서 20여 년간 화장품 매장을 운영한 박근혜(50)씨는 “홈플러스 때문에 인근 상가가 상생할 수 있었다”며 “대형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서더라도 또 다른 상권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대구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적자 폭이 커지자 폐점을 결정했다. 이곳에는 지하 5층 지상 49층 대규모 주상복합단지가 들어선다.
대구=김민규 기자
[email protected] 대구한국일보 김채은 기자, 박성현 기자
0 0 공유 저장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홈플러스(Home plus)는 홈플러스와 홈플러스테스코가 공동 설립한 대형 할인점 브랜드다.[1]
개요 [ 편집 ]
1997년 9월 삼성물산에서 홈플러스라는 이름의 대형 할인점 점포를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에 첫 개설하였다.
1999년 5월에 삼성물산과 영국 테스코의 50:50 합작 투자로 삼성테스코를 설립하여 운영하다가, 삼성그룹의 구조조정으로 삼성물산이 보유하던 지분의 대부분을 테스코에 매각하여 한동안 테스코의 지분이 100percent에 달하는 외국계 기업이었다.
2008년 5월에는 이랜드가 까르푸 매장을 인수하고 런칭하는 홈에버를 인수하여 매장을 늘렸고, 소형 매장이자 기업형 슈퍼마켓 브랜드인(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공격적으로 출점하여 매장 수를 기하 급수적으로 늘려 2011년 2월 기준 123개의 대형 매장(홈플러스), 209여개의 소형 매장(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330여개의 매장으로 확장하였다. 2008년 5월 홈에버를 인수하면서 기존 홈에버 매장은 홈플러스테스코라는 별도 법인의 자회사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홈에버에서 인수한 매장은 36개이며, 나머지 85개 매장은 홈플러스에서 자체적으로 세운 매장이다. 홈에버를 인수한 후, 일부 매장은 타사에 매각하거나 폐쇄했다.
2011년 3월 1일에 삼성그룹과의 상호사용 계약 기간 만료로, 법인명이 삼성테스코 주식회사에서 홈플러스 주식회사로 변경되었다.[2]
2011년 7월 1일 삼성물산은 남은 지분 5.32percent를 매각했다.[3] 2011년 11월 22일에는 편의점 브랜드인 홈플러스 365의 1호 매장을 출점하였다.[4]
2015년 테스코 영국 본사의 분식회계 사실이 적발되어 홈플러스를 매물로 올렸고, 사모펀드인 MBK 파트너스에 매각하여 다시 대한민국 자본의 마트가 되었다. 일부 테스코 상품을 판매하다가 철수했다.
2018년 6월 27일에 1호점인 홈플러스 대구점이 홈플러스의 새로운 창고형 매장인 홈플러스 스페셜 대구점으로 리모델링되었으며, 6월 28일 서부산점, 7월 12일 목동점, 7월 13일 동대전점, 7월 26일 안산고잔점, 8월 22일 가양점, 8월 23일 시화점, 8월 29일 동대문점, 8월 30일 청주성안점, 9월 6일 상인점, 10월 18일 분당오리점, 10월 24일 순천풍덕점, 11월 16일 전주완산점, 11월 29일 광주하남점, 11월 30일 인천연수점, 12월 20일 시흥점 등이 리모델링되었다.
캐치프레이즈는 ‘생활에 플러스가 됩니다’다.
연혁 [ 편집 ]
대형마트 [ 편집 ]
※ 대표 전화번호가 ‘2080’으로 끝나는 경우 구 홈에버(구 까르푸) 점포이다. 신점포는 8000번대이다. 홈플러스스토어로 되어 있으면 구 홈에버(구 까르푸)이며 신점포는 홈플러스주식회사로 영수증에 나온다.
지역 점포 수 (136개) 점포명 (소재지) 서울특별시 19개 신도림점 (구로구 경인로 661)[8] / 메가푸드마켓월드컵점 (마포구 월드컵로 240)[8]/ 가양점 (강서구 양천로 431)[8] / 강동점 (강동구 양재대로 1571)[8] / 강서점 (강서구 화곡로 398) / 금천점 (금천구 시흥대로 391) / 서울남현점 (관악구 과천대로 909) / 동대문점 (동대문구 천호대로 133)[9]/ 시흥점 (금천구 시흥대로 201) / 영등포점 (영등포구 당산로 42) / 중계점 (노원구 동일로204가길 12)[8] / 월곡점 (성북구 화랑로 76) / 상봉점 (중랑구 망우로 353) / 신내점 (중랑구 신내로 201) / 방학점 (도봉구 도봉로 678)[8]까르푸-홈에버였음 / 면목점 (중랑구 면목천로 35)[8]/ 목동점 (양천구 목동서로 170)[8][9] / 잠실점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 16) / 합정점 (마포구 양화로 45) 부산광역시 13개 영도점 (영도구 대교로14번길 57) / 센텀시티점 (해운대구 센텀동로 6) / 부산반여점 (해운대구 선수촌로21번길 37) / 해운대점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140)[8] 서면점 (부산진구 동천로 4)[8] / 부산연산점 (연제구 반송로 88) / 아시아드점 (연제구 종합운동장로 7) / 장림점 (사하구 다대로 225)[8]/ 부산감만점 (남구 우남로 124) / 동래점 (동래구 중앙대로 1523) / 가야점 (부산진구 가야대로 506) / 부산정관점 (기장군 정관읍 정관5로 50)/ 서부산점(사상구 광장로 7 (괘법동 529-1)[9] 인천광역시 10개 인천연수점 (연수구 청능대로 21) / 메가푸드마켓간석점 (남동구 예술로 198) / 구월점 (남동구 구월동 1130)[8] / 인천논현점 (남동구 청능대로 596) / 인천숭의점 (남구 석정로 51) / 인하점 (남구 소성로 6)[8] / 계산점 (계양구 오조산공원로 14)[8]/ 메가푸드마켓작전점 (계양구 계양대로 27) / 가좌점 (서구 가정로151번길 11) / 메가푸드마켓인천청라점 (서구 중봉대로 587)[10] / 메가푸드마켓인천송도점 (연수구 송도국제대로 165) 대구광역시 7개 남대구점 (남구 대명로 116) / 내당점 (서구 달구벌대로 1821) / 대구수성점 (수성구 동대구로 95) / 동촌점 (동구 동촌로 127) / 상인점 (달서구 월배로 183)[9]/ 성서점 (달서구 달구벌대로 1467) / 칠곡점 (북구 동암로12길 8) 대전광역시 5개 서대전점 (유성구 대정로 23) / 유성점 (유성구 한밭대로 502)[8] / 대전가오점 (동구 은어송로 72) / 동대전점 (동구 한밭대로 1282)[9] / 문화점 (중구 계백로 1690)[8] 광주광역시 3개 광주계림점 (동구 무등로 314) / 광주하남점 (광산구 용아로 390) / 동광주점 (북구 동문대로 200) 울산광역시 4개 울산남구점 (남구 수암로 148) / 울산동구점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637) / 울산북구점 (북구 신답로 26) / 울산점 (중구 번영로 475) 세종특별자치시 2개 세종점 (절재로 154) / 조치원점 (조치원읍 허만석로 60) 경기도 34개 일산점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1275번길 64)[8] / 킨텍스점 (고양시 일산서구 호수로 817) / 김포점 (김포시 중봉로 14) / 김포풍무점 (김포시 풍무로 167) / 파주문산점 (파주시 문산읍 방촌로 1759) / 북수원점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930) / 동수원점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57) / 서수원점 (수원시 권선구 금곡로 236) / 영통점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576) / 하남점 (하남시 하남대로 747) / 고양터미널점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 평촌점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162) / 원천점 (수원시 영통구 중부대로 437)[8] / 진접점 (남양주시 진접읍 금강로 1447) / 부천상동점 (부천시 길주로 118) / 부천소사점 (부천시 경인로 532) / 부천여월점 (부천시 소사로 663) / 송탄점 (평택시 경기대로 1103) / 안산고잔점 (안산시 단원구 광덕대로 175)[8][9] / 안산선부점 (안산시 단원구 삼일로 316) / 안산점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432) / 안양점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76)[8] / 의정부점 (의정부시 청사로 38) / 평택안중점 (평택시 안중읍 현화리 산274) / 병점점 (화성시 경기대로 985)[8] / 화성동탄점 (화성시 동탄중앙로 200) / 화성향남점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402) / 분당오리점 (성남시 분당구 탄천상로15번길 20)[8] / 야탑점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8]/ 포천송우점 (포천시 소흘읍 솔모무로 9) / 오산점 (오산시 청학로 238) / 시화점 (시흥시 희망공원로 269)[9] 강원도 4개 강릉점 (강릉시 경강로 2120) / 원주점 (원주시 치악로 1489)[11] / 춘천점 (춘천시 김유정로 1840) / 삼척점 (삼척시 중앙로 258) 충청북도 4개 오창점 (청원구 오창읍 중심상업1로 8-11) / 동청주점 ( 청원구 충청대로 114(율량동)) / 청주성안점 (상당구 사직대로 346 서문동)[8][9] / 청주점 (흥덕구 서부로1291) 충청남도 5개 계룡점 (계룡시 계룡대로 304) / 논산점 (논산시 시민로 187) / 보령점 (보령시 명암1길 17) / 천안점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74) / 천안신방점 (천안시 동남구 신촌1길 23)[8] 전라북도 5개 김제점 (김제시 금성로 114) / 익산점 (익산시 무왕로 1035) / 전주효자점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31) / 전주점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771) / 전주완산점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170)[8] 전라남도 4개 목포점 (목포시 영산로 313) / 순천점 (순천시 신월큰길 10) / 순천풍덕점 (순천시 팔마로 222)[8][9] / 광양점 (광양시 항만11로 70) 제주특별자치도 1개 서귀포점(서귀포시 중앙로 180) 경상북도 8개 죽도점 (포항시 북구 중흥로 328) / 포항점 (포항시 남구 중흥로 77)[8] / 영주점 (영주시 대학로 29) / 구미점 (구미시 구미대로 174) / 문경점 (문경시 모전로 65) / 안동점 (안동시 경동로 656) / 경주점 (경주시 공단로 97) / 경산점 (경산시 경안로 288) 경상남도 8개 거제점 (거제시 장평로 12) / 김해점 (김해시 김해대로 2078) / 마산점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56) / 밀양점 (밀양시 점필재로 45) / 삼천포점 (사천시 중앙로 165) / 진주점 (진주시 대신로 304) / 진해점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 356) / 창원점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 415) / 거창점 (미정)
홈플러스 스페셜 (창고형할인점) [ 편집 ]
지역 점포 수 (18개) 점포명 (소재지) 서울특별시 5개 가양점 (강서구 양천로 431), 동대문점 (동대문구 천호대로 133), 목동점 (양천구 목동서로 170), 시흥점 (금천구 시흥대로 201), 서울남현점 (관악구 과천대로 909) 부산광역시 2개 서부산점 (사상구 광장로 7), 해운대점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140) 대구광역시 1개 상인점 (달서구 월배로 183) 대전광역시 1개 동대전점 (동구 한밭대로 1282) 광주광역시 1개 광주하남점 (광산구 용아로 390) 인천광역시 2개 인천연수점 (연수구 청능대로 210), 인천청라점[개점유보] (서구 중봉대로 587) 경기도 4개 시화점 (시흥시 희망공원로 269), 안산고잔점 (안산시 단원구 광덕대로 175), 분당오리점 (성남시 분당구 탄천상로151번길 20), 화성동탄점 (화성시 동탄중앙로 200) 충청북도 1개 청주성안점 (상당구 사직대로 346) 전라남도 1개 순천풍덕점 (순천시 팔마로 222) 전라북도 1개 전주완산점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170) 강원도 1개 원주점[개점유보] (원주시 치악로 1489)
※ 홈플러스 스페셜은 2020년까지 18개 점포를 리모델링했고, 2022년에 점포출점은 유보되어있다.
※ 대구점 12월 23일 폐점 / 원주점,인천청라점 개점유보
대한민국의 홈플러스 [ 편집 ]
대한민국의 다른 대형할인점 매장들이 인구가 더 밀집된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시켜 나간 데 비해, 홈플러스는 최초의 매장을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에 내는 등 사업 초기에는 수도권보다 영남권에 집중[12] 적으로 매장을 개설하였다. 이로 인하여 수도권에서 많은 매장을 출점한 이마트와 점포 중복을 피할 수 있어 초기에 영남권에서 우세를 점한 것이 성공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매장이 적은 관계로 인지도가 낮은 약점을 타파하기 위해[13], 200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 지역에도 적극적인 출점을 하였고, 2008년 5월 이랜드의 홈에버(구 까르푸)를 인수하면서 수도권에서도 인지도를 더욱 높였다.
한편 홈플러스 운영 초기, 대한민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홈플러스는 테스코가 진출해 있는 국가들 중 연면적 대비 점포수가 가장 적고(점포당 면적이 넓음), 타 국가의 테스코들과 비교해 매출이 가장 많았다.[14] 타 국가들과 이런 실적의 차이를 보이게 된 것에는 본래 테스코라는 브랜드가 SSM 형태의 업체였다는 것에서 출발하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삼성물산과 합작하여 대형 할인점 홈플러스의 형태로 출점을 시작하게 된 것과는 달리 타 국가(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영국 테스코의 영업 형태 그대로 출점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홈플러스” 브랜드는 이마트에 이어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타 국가의 매장들과는 달리 대한민국의 홈플러스 매장들은 점포당 면적이 넓고 그에 상응하여 매출이 가장 많은 국가가 되었으며, 이러한 좋은 실적을 바탕으로 테스코 본사에서 홈플러스 브랜드를 별도로 벤치마킹해 현재 테스코 홈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영국 각지에 10여 개의 대형 매장(Super Store)이 영업중이다.[15] 대한민국에서는 이마트에 이어 2위에 머무르는 브랜드이지만, 해외 테스코 경영진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으며 홈플러스라는 유통 형태와 브랜드가 해외로 역수출된 현상은 상당히 특이한 사례였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홈플러스도 2000년대 중반 이후 적극적으로 SSM 형태의 매장을 늘리면서 점포당 면적과 점포당 매출액은 줄어들게 되었다.
홈플러스는 할인점에 이어 백화점 사업을 구상하여 추진했지만, 영국 본사와 한국 지사 내부에서 부정적인 견해가 있어 그 계획은 유보된 것으로 알려졌다.[16]
2010년 기준 홈플러스 매출 상위 매장은 상암월드컵경기장점(월드컵점), 의정부점, 김해점, 영등포점, 안산점, 간석점, 성서점, 영통점, 북수원점, 아시아드점 순이며, 까르푸의 점포로 출발했다가 홈에버를 거쳐 홈플러스의 인수로 홈플러스 점포가 된 월드컵점은 연 매출 2,450억원으로 1위를 기록하고 있다.[17]
유통업체 발주 상품(PB) [ 편집 ]
일부 품목들은 홈플러스가 브랜드를 만들고 하청주문을 넣어 다른 회사가 생산한 다음 홈플러스의 상표를 붙여 판다. 이 제품은 타사에서 제작하는 같은 품목의 제품들에 비해 절반이나 그 이상으로 이른바 “싼” 가격에 판매한다. 홈플러스가 이름 붙여 파는 상품은 음료류, 과자류, 면류, 주방용품, 생활용품, 공산품이 있다.
홈플러스 모바일 [ 편집 ]
2013년에 처음 나왔으며 KT의 망을 임대해서 쓰다가 2014년에 LG유플러스의 임대망까지 확보하였으나 2015년 6월 1일에 철수했다.
특징 [ 편집 ]
데이터 무제한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KT 혹은 LG 유플러스 임대망의 쓰는 상품만 다룬다.
통신 서비스에 따라 현장에서 진행하는 회원 가입 서비스를 진행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지점 운영상의 문제인지 확인해야 한다.
사진 [ 편집 ]
2018년 6월 25일 이전까지 사용된로고(2018년 11월 1일까지익스프레스에서 사용)
현재 로고
쇼핑카트의 모습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있는 고양버스터미널
성남종합터미널(구.까르푸/홈에버)
홈플러스 야탑점(성남종합터미널)
수원시청역 1번 출구 가운데쪽이 동수원점이다.
경기도청북부청사역(의정부점)모습
소풍터미널 (바로옆이 상동점이다.)
홈플러스 동수원점
홈플러스 안산점 주차장입구
홈플러스 해운대센텀시티점
홈플러스 대구내당점
홈플러스 동촌점
홈플러스 칠곡점
홈플러스 포항점
홈플러스안산점
홈플러스 강동점
홈플러스스페셜 대구점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방배점
홈플러스 동대문점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키워드에 대한 정보 홈 플러스 1 호점
다음은 Bing에서 홈 플러스 1 호점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대구MBC뉴스] 홈플러스 전국 1호점,오늘 문 닫아
- 대구문화방송
- 대구mbc
- 대구MBC뉴스
- 뉴스
- MBC
- 엠비씨
YouTube에서 홈 플러스 1 호점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구MBC뉴스] 홈플러스 전국 1호점,오늘 문 닫아 | 홈 플러스 1 호점,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